Programs ›
Research Paper

리서치 페이퍼 및 생기부 멘토링 프로그램

Introduction:
생기부의 중요성과 연구 활동의 필요성

대학 입시는 단순한 성적이 아니라 학생의 역량과 성장 과정을 평가합니다. 특히, 서울대 및 과기원은 최근 과정 중심의 평가 방식을 강화하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생활기록부에서 학생의 탐구 과정과 전공 적합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성적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연구 프로젝트, 탐구 활동, 심화된 학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기록하면 입시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내신이 평균 2등급대인 학생들이 생기부의 차별화된 연구 내용 덕분에 상위권 대학에 합격한 사례가 많습니다.

고교학점제, 내신 5등급제 시행으로 내신 부담이 적어지는 만큼
대학에서는 학생들한테 더 많은 것을 요구합니다.

한편 실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 탐구 활동은 대학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단순한 나열식 활동 보고로 이루어진 생기부보다는, 연구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Research Paper Program은 저희의 멘토링 아래 진행되며, 학생들이 직접 연구를 수행하며 학부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반적 생기부와의 차이점

고등학교 수준 이상의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단순한 개념 이해를 넘어 기존 연구와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논리적으로 정리된 객관적 데이터와 수치를 활용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며,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접근법을 통해 독창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합니다.

어떻게 달라질까요?

“화학 시간에 실험을 수행하고, 반응 결과를 기록함.”

VS

"다양한 촉매가 화학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응 속도 상수를 도출함.
이를 통해 특정 촉매가 기존 이론보다 더 높은 효율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고, 추가 연구 필요성을 제안함."

이처럼 세특을 단순한 활동 기록이 아니라, 실제 연구 과정을 반영한 내용으로 작성하면 입시에서 더욱 유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수능이나 내신 성적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학생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충분히 입증 가능!

Example Works

저희와 함께한 학생들의 연구 보고서 예시를 둘러 보세요.

연구 프로그램 진행 일정

연구 프로젝트는 2달에 걸쳐 다음과 같은 2-Month Rolling Schedule로 진행됩니다:

일정은 매달 20일에 시작되고, 모집 인원은 전월달에 마감됩니다.

1-5일: 초기 상담 및 학생 맞춤형 주제 선정

학생의 관심사 및 희망 전공을 반영하여 개별적인 연구 주제를 설정

6-15일: 연구 방법론 교육 및 자료 조사

논문, 연구 자료, 관련 서적 등을 조사하여 이론적 배경을 확보

16-25일: 연구 방법론 설계 및 실험 진행

연구 방법을 구체화하고 실험 설계를 진행

26-40일: 데이터 분석 및 연구 결과 도출

학생이 직접 연구를 수행하며, 데이터 분석과 논리적인 결과 도출을 지원

41-50일: 보고서 작성 및 논리적 구성 정리

연구 결과를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기록

51-60일: 검수 및 최종 피드백 진행

전문가 피드백을 바탕으로 1, 2차 검수와 최종 Q&A 과정을 진행

Join Codefly

다음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해 연락해 주시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카카오톡 채널

홈으로 돌아가기

홈으로 돌아가기 →
© 주식회사 코드플라이 | 대표 남강주 | 사업자등록번호 459-81-03343
KB Auth Mark